입력 : 2015.11.19 06:01
| 수정 : 2015.11.19 11:50
근정전(勤政殿)은 조선 최초의 궁궐인 경복궁(景福宮)의 정전(正殿) 건물이다. 이곳은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거행하거나, 외국사신을 접견하던 궁궐 내 가장 중요한 건물이기도 하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근정전은 임진왜란때 화재로 소실되어 폐허상태로 거의 270년간 방치되어 오던 것을 흥선 대원군(고종5년, 1868년)때 중건한 건물이다. 근정전 정면 계단에는 상하에 봉황을 새긴 답도(踏道)를 두었다. 이 계단을 오르면 화강암을 다듬어 2단으로 설치한 댓돌이 넓게 펼쳐져 있는데 위의 것을 상월대, 아래의 것을 하월대라 부른다. 상하 각 월대의 가장자리에는 돌난간을 사방에 둘렀다. 그리고 그 돌난간 기둥과 층계 좌우의 돌기둥의 머리 위에는 동물조각을 새겼다. 월대 난간에 새긴 동물조각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것은 사신상과 십이지상이다. 사신(四神)상은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다스리면서 우주의 질서를 받쳐주는 상징적인 동물이며, 십이지상은 시간과 방위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상징물이다.
사신도(四神圖)는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서 많이 등장하며, 십이지신상은 통일신라 이후 조선시대까지 왕릉이나 석탑의 기단부에 조성하였는데, 사신상과 십이지신상이 동시에 궁궐의 정전 주변에 배치된 예는 근정전이 유일하다.
사신도(四神圖)는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서 많이 등장하며, 십이지신상은 통일신라 이후 조선시대까지 왕릉이나 석탑의 기단부에 조성하였는데, 사신상과 십이지신상이 동시에 궁궐의 정전 주변에 배치된 예는 근정전이 유일하다.
-
- 경복궁 근정전에 놓여있는 사신상. 좌청룡(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순으로),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 /조훈철
-
- 근정전의 답도 및 상하월대 전경. /조훈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