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6.09 10:10
| 수정 : 2015.06.09 10:12
최윤희(崔潤喜) 합참의장이 해군참모총장 시절 ‘해군항공사령부’를 창설하는 내용의 해군 장기발전 전략을 수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3년 4월 초, 최윤희 당시 총장은 해군에 지시해 ‘해군항공 비전 2030’ 계획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해군항공 비전 2030’에 따르면, 해군은 해군항공사령부를 창설하고, 2020년대 후반까지 경함모에 탑재운용할 F-35B 최신예 스텔스 수직이착륙 전투기로 이어도 등 남방해역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는 한편, 적 잠수함 위협에 대한 해상초계를 위해 24시간 주요해역 정찰 감시 자산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
- 해군은 2027년경 경항모급 독도3번함을 건조해 수직이착륙 폭격기 F-35B를 탑재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지난 2월 1일 해군은 해군작전사령부 직속으로 기존의 9전단을 잠수함사령부로 증편해 창설한 바 있다. 잠수함사령부 창설은 21세기국방개혁위원회가 일찍이 건의했던 사안으로, 해군은 1800톤급 214급 잠수함 9척과 3000톤급 잠수함 9척 등 총 18척 체제로 유지할 계획이다.
-
- 포항 해군 항공6전단 항공역사관에 전시중인 해군항공사령부가 보유해야할 무기체계들.
김국헌(金國憲) 전 국방부 군비통제관(예비역 육군소장)도 “비핵국가인 우리로서는 핵탄두 미사일을 가진 원자력잠수함(SSBN)을 가질 수는 없으나, 추진기관이라도 원자력잠수함(SSN)을 보유할 필요는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미국과 길고 지루한 협상이 필요하고, 이 협상은 탄도탄의 사거리를 늘리는 것과는 차원을 달리할 것”이라고 했다.
김국헌 장군은 “이제는 항공사령부 창설도 검토할 때”라며 “이렇게 되면 해군은 1함대, 2함대, 3함대, 기동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해병대사령부를 통해 수상, 수중, 항공, 해병 요소를 균형 있게 갖추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차원에서 현재 해군항공대는 ‘해군항공 비전 2030’에서 2030년까지 중국과 일본의 군사력 증강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2027년경 독도 3번함(2만 톤급)을 건조해 F-35B 전투기를 탑재한다는 계획이다.
-
- 2010년 8월 5일 독도함이 서해 합동 해상기동훈련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해군은 2018년 진수 예정인 1만2,000톤급 독도2번함에 이어 2027년경 2만톤급 독도3번함(가칭)을 건조해 F-35B 전투기를 탑재할 계획이다.
-
- 중국 랴오닝함의 함재기인 젠(殲)-15기가 랴오닝함에서 날개를 접은 상태로 항모 갑판 위에 대기하고 있다가 14도 각도의 스키점프대를 이용해 랴오닝함에서 이륙하고 있다.
-
- 2013년 8월 미국 록히드마틴사가 개발한 첫 단거리이륙ㆍ수직착륙(STOVL)형 스텔스 전투기인 F-35B 라이트닝 II가 수륙양용함 USS 와스프에 착함하고 있다.
영국과 이탈리아가 조만간 F-35B를 경항모에 탑재하게 되고, 일본도 2025년경 F-35B를 항모에 실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이르면 2027년 무렵 경항모에 전투기를 탑재하게 될 것이다. 이에 앞서 일본은 오는 2017년 경 헬기항모 이즈모에 해병대 수송용 V-22 오스프리 헬기를 탑재할 것이고, 한국도 독도 2번함에 오스프리를 실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즈모함은 갑판 개조 시 수직이착륙기인 F-35B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실상의 경항공모함이다. 원안은 2013년 8월 6일 아소 다로 부총리가 이즈모함 진수식에서 도끼로 진수대를 내리치고 있다.